김동연, 광역버스 입석 중단에 “도민 불편 최소화하겠다”

입력 2022-11-18 10:05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월 18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8일 광역버스 입석 승차 중단과 관련해 “도민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활용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광역버스 입석 중단으로 인해 당분간은 경기도와 서울, 인천을 오가는 시민들의 많은 불편함이 예상된다”며 도가 마련한 대책을 설명했다. 그는 “오늘부터 전세버스, 예비차량 등 20대를 투입하고, 9월에 수립한 ‘광역버스 입석대책’에 따라 늘리기로 계획된 68대의 차량도 내년 초까지 투입을 완료하겠다”고 했다.

또 “정부 및 수도권 지자체와 함께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 대응 협의체’를 상설화해 승객 불편과 혼잡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는 등 입석 문제에 공동대응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도의 광역버스 입석대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김 지사는 “단기적으로는 배차간격을 줄이는 등 도민의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면서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버스 기사 인력을 구하기가 어려운 점 등 여건이 어렵다는 것을 털어놓기도 했다.

진행자가 “입석을 그냥 허용해달라는 경기도민의 현실적인 요구도 있다”고 묻자 김 지사는 “10.29 참사로 인해 안전을 강조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한다”며 “안전과 불편 해소의 조화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입석 승차 중지 결정을 한 KD운송그룹과 이미 논의하고 있다며 앞으로 추가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날 경기도는 18일부터 도내 14개 시·군에서 KD운송그룹 소속 버스업체 14곳이 운행하는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가 중단된다고 밝혔다. 전체 경기지역 광역버스 노선 중 46%에 달하는 146개 노선이 대상이다.

경기도는 승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기버스 정보앱’과 정류소 안내문을 통해 입석 중단 및 대체 노선을 안내하고 있다. 또 주요 정류장에는 직원을 배치해 현장에서 안내를 이어갈 예정이다.

류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