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내부서도…“이재명 측근 일에 당 총력방어, 부적절”

입력 2022-11-17 07:22 수정 2022-11-17 10:17
왼쪽 사진부터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정진상 민주당 대표 정무조정실장. 연합뉴스, MBC 보도화면 캡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당 대표 정무조정실장이 잇달아 검찰 수사를 받는 데 대해 민주당이 적극 엄호에 나서자 당 내부에서조차 ‘개인의 일에 왜 당이 나서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16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인터뷰에서 “김용 정진상, 이런 분들이 돈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 비리에 연루됐는지 여부는 잘 모르겠다. 최종적인 수사나 판결이 나와야 판명 날 것”이라며 “그분들이 무고하다고 한다면 본인들이 나서서 밝혀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요즘 김 부원장이나 정 실장에 대해서 당이 총력을 들여서 방어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는데, 당이 여기에 깊게 관여해서는 안 된다”면서 “본인들이 법률적으로 대응해서 무고함을 밝혀야 할 문제고, 당 지도부가 나서서 총력을 기울여서 엄호한다거나 이런 것은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걸 정치적 문제로 비화시키면 오히려 역효과가 더 나지 않을까. 이 대표가 자꾸 더 의심을 받게 되는 측면도 있다”면서 “진위 여부는 모르겠으나 만약 (혐의 내용이) 사실일 경우 당이 그 리스크를 떠안게 되는 건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는 16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에 대해 특가법상 뇌물 등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앞. 연합뉴스

조응천 민주당 의원도 비슷한 의견을 냈다. 조 의원은 전날 SBS 라디오 ‘정치쇼’에 출연해 “비명계 의원들 사이에서 구체적인 얘기를 한 것은 없지만, 그런 생각들은 하고 있다. (이 대표가) 성남시장·경기지사로 재직했을 때 일이고 당무와 관련된 일이 아닌데 왜 당이 나서느냐는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예를 들어 (김용 부원장이나 정진상 실장 같은 이재명 대표 최측근이 아니라) 다른 당직자라면 (이렇게 했겠는지) 답이 굉장히 궁색해진다”며 “당 대변인 혹은 공보실에서 왜 나서느냐”고 재차 의구심을 표했다.

조 의원은 “물론 정 실장에 대해 사법 처리가 이뤄지면 그다음 수순은 바로 이 대표에게 칼날이 들어온다고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든 방어선을 쳐야 한다는 심정에서 그렇게 하는 것은 이해는 간다”면서도 “이것은 당무와는 관계없으니 이 대표가 우리 당의 대선후보가 된 이후의 일부터 당이 직접 개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의 국가책임과 재난안전 대책' 토론회에서 발언을 마친 뒤 밖으로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금태섭 전 민주당 의원도 지난 14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민주당은 지금 자정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고 (이 대표) 개인의 정당이 되어가는 과정이 아닌가 싶다”며 “이 대표 한 명의 사법리스크가 지금 여러 사건이 있는데, 자칫 잘못하다가는 당 자체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지난 15일에는 민주당 정책의원총회에서 지도부 일부가 이 대표의 대장동 사건 등을 장황하게 설명하자, 홍기원 의원이 “왜 이렇게까지 하는 것이냐”며 반발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이 대표 측근들을 향한 검찰 수사를 ‘정치 탄압’으로 규정하며 적극적으로 방어하고 있다. 당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명백한 물증 하나 없이 죄인으로 몰아가려 한 야당탄압 조작수사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며 “짜맞추기 조작 수사로 우기지 말고 증거를 제시하라”고 밝혔다. 정 실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에도 반발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