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7일 전국 84개 시험지구 1370여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진행된다.
시험은 지난해처럼 국어영역, 수학영역, 영어영역, 한국사 및 탐구(사회·과학·직업)영역, 제2외국어/한문영역 순으로 진행된다. 수험생은 8시10분까지 입실을 완료해야 한다. 1교시 국어영역은 오전 8시40분 시작하고, 5교시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오후 5시45분(일반 수험생 기준) 끝난다.
올해 수능에는 지난해보다 1791명 줄어든 50만8030명(원서접수자 기준)이 지원했다. 재학생은 전년 대비 1만471명 감소한 35만239명(68.9%), 졸업생은 7469명 증가한 14만2303명(28.0%), 검정고시 등은 1만5488명(3.1%)이다. 졸업생과 검정고시생을 합한 비율이 31.1%로 1997학년도(33.9%) 이후 26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이과 통합 체제로 치러진다. 문·이과 구분 없이 국어영역은 독서·문학을 공통으로 하고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자신이 선택한 과목의 시험을 본다. 수학영역은 공통과목으로 수학Ⅰ·수학Ⅱ를 보고, 선택과목으로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1개를 선택한다.
올해 수능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치러지는 세 번째 수능이다. ‘일반 수험생’과 ‘격리대상(확진) 수험생’이 응시하는 시험장이 따로 운영된다.
일반 시험장은 모두 1265곳으로 발열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없는 수험생은 일반 시험실에서 시험을 치르고, 격리대상은 아니지만 의심 증상이 있는 수험생은 일반 시험장에 별도로 마련한 분리 시험실에서 시험을 본다.
11일 이후 코로나19에 확진된 수험생은 전국 110개 학교에 마련된 별도 시험장과 25개 병원 시험장에서 수능을 치른다. 교육부는 수능 원서접수자 가운데 11~15일 1817명이 확진된 것으로 파악했다. 16일 0시 기준으로 병원 시험장 응시자는 3명이다.
확진자 격리 의무가 7일인 점을 고려하면 11~16일에 양성 판정을 받은 수험생이 별도 시험장 배정 대상이다. 하루평균 확진 수험생이 400명가량이고 최근 확진자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별도 시험장에서 응시할 수험생은 2400명 안팎이 될 것이라고 교육부는 추산했다.
정부는 올해 처음 코로나19 확진 수험생이 재택치료 중 외출해 시험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까지는 확진자의 경우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해 시험을 보고, 자가격리 중인 밀접접촉자만 별도 시험장으로 외출이 허용됐다.
모든 수험생과 감독관은 시험을 보는 동안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감독관은 대리응시 등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수험생에게 마스크를 내려 신분 확인을 요청할 수 있고, 수험생은 이에 협조해야 한다.
점심시간에는 칸막이가 배부된다. 수험생은 안내에 따라 3면으로 된 칸막이를 펼쳐서 책상에 올려둔 상태로 점심을 먹고, 식사가 끝난 후에는 다시 반납해야 한다.
올해 성적 통지표는 오는 12월 9일 수험생에게 배부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