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태원 참사 피해자 명단이 공개된 데 대해 “유족 동의 없이 공개된 부분에 심히 유감”이라며 “정부는 유족 동의가 전제되지 않은 정보는 공개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과거 대형 참사 시에는 시신의 신원 확인이 상당히 오래 걸려 실종자 명단을 먼저 작성해왔다”며 “세월호 참사나 대구 지하철 화재 당시에도 신원 확인에 많은 시간이 필요해 먼저 실종자 명단이 작성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태원 참사는 신원 확인 절차가 단기간에 끝나면서 사실 실종자 명단을 오래 관리할 필요가 없다. 과거 참사와는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희생자 명단을 공개한 매체에 대한 대응 여부에 대해선 “검찰과 경찰에 (해당 매체가) 고발된 것으로 안다. 수사가 이뤄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답했다.
앞으로 재난·안전사고 현장에 경찰특공대를 선제적으로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이를 위해 경찰특공대의 관련 교육 훈련을 도입하고 응급구조사 등 전문자격증 취득을 확대한다. 재난 대응 장비도 확충할 계획이다. 경찰특공대는 24시간 상시 출동대기를 위해 교대 근무로 운영 중이다. 황창선 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은 “아무래도 경찰특공대가 가장 빠르게 출동할 수 있는 부대”라며 “대테러 업무에 중점을 두었던 부대 운영 폭을 넓혀서 큰 사고 있을 때는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