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16일 “한일 양국 정상이 강제징용 문제 해결책에 관해서 상당히 밀도 있는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협의 진행상황에 대해 잘 보고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양 정상 간에 강제징용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자는 취지로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됐다는 설명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가진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의 논의가 진행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협의를) 좀 더 속도감 있게 진행시켜서 강제징용 문제 해결뿐 아니라 한일관계 개선을 가져올 수 있는 방향으로 양 정상이 더 주의를 기울이고 힘을 보태자는 분위기”라고 했다.
다만 강제징용 문제 해결책과 관해 “구체적인 이야기가 오가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제징용 문제) 협의를 잘 보고받아 알고 있다는 것은 양 실무진 간에 어느 정도 1~2개 해법으로 좁혀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양측 간극이 많이 좁혀졌으니 문제를 해소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속히 매듭짓자는 얘기”라며 “상당히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의기투합으로 해석하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일본 언론들은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제 강제동원 노동자 배상 문제의 해결 방안과 관련해 구체적인 논의는 진행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양국이 옛 징용공(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문제의 조기 해결을 목표로 협의를 계속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그쳤다”며 “윤 대통령이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한국과 일본 외교 당국 간부에 따르면 회담에서 구체적인 해결방안에 대한 (정상 간) 의견 교환은 없이 당국 간 조정을 계속한다는 내용에 그쳤다”며 “합의 시기를 제시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보도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