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이 싫다는데”… 野이석현 “다 물어봤나” SNS설전

입력 2022-11-16 08:37 수정 2022-11-17 07:22
이석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16일 오전 트위터에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이 전 의원은 '유가족이 싫다고 하지 않느냐'는 누리꾼의 비판에 "유가족 전원에게 물어 보았나요"라고 응수했다. 이 전 의원 트위터 캡처

이석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의 공개를 주장하면서 “유가족이 싫다고 하지 않느냐”는 누리꾼의 지적에 “유가족 전원에게 물어봤느냐”고 응수했다.

이 전 의원은 16일 오전 트위터에서 “10·29 참사의 희생자 명단이 밝혀졌다고 범죄시하는 걸 이해할 수 없다”며 “꽃다운 젊음들이 국가의 잘못으로 숨져간 역사적 참사다. 정부가 명단도 유가족 모임도 돕지 않는 것은 역사 속에서 지우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했다.

이 전 의원은 “정보 공개? 유가족 의견? 그런 논리라면 세월호나 9·11 명단도 지워야 하는가”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희생자에게 빈정대는 일부의 2차 가해는 이 정부에서 책임지려는 사람이 없고, 은연중 사고 책임을 희생자에게 둘러씌우려는 분위기로 인한 영향도 크다”며 “희생자를 떳떳하게 밝히는 일은 국가책임을 확실하게 하는 일이며, 세월호나 9·11처럼 국가와 국민의 마음에 새겨 또 다른 참극을 막자는 다짐”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의원은 자신의 주장을 반박한 누리꾼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한 누리꾼은 “유가족이 싫다는데 그거를 무슨 역사적 참사 운운하나요?”라고 댓글을 달았다. 그러자 이 전 의원은 “유가족 전원에게 물어보았나요?”라고 받아쳤다.

다른 누리꾼이 “그 공개가 정쟁으로 누구에게 눈물쇼로 이어질 걸 불 보듯 뻔한 걸 못 보시네요”라고 지적하자 이 전 의원은 “이 일은 정치적 효과가 어느 진영에 도움되냐보다는 무엇이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인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명단 공개 당한 외국인 희생자 유족들이 집단소송을 한다고 한다. 징벌적 손해배상 잘 아시죠?’라는 댓글에는 “지금 국가책임이 희석되고 희생자 잘못인 양 일부 인식되는 데서 오는 현상”이라고 답했다.

여러 누리꾼은 이 전 의원의 글에 비판적인 댓글을 달았다. 한 누리꾼은 “의원님, 이번엔 (소신이라고 하기엔 좀) 핀트가 많이 어긋나셨다”고 했다. 다른 누리꾼은 이 전 의원을 겨냥해 “그 논리면 유가족 전원이 (명단 공개를) 좋다고 했느냐”며 “이걸 공개해서 이득을 보는 자들이 누구인가”라고 따졌다.

그 밖에도 여러 누리꾼은 “유가족 동의를 구하지 않고 공개한 게 문제의 핵심이다. 공개 의도가 정치적 목적이라는 게 보이니 더 문제다” “거하게 헛발질하신다” “명단 공개와 국가가 잘못을 책임지는 것과 필연적인 상관관계를 알려 달라”는 등의 댓글을 달며 비판했다.

앞서 인터넷 매체 ‘더탐사’와 ‘민들레’는 유족 동의 없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158명 중 155명의 실명을 공개했다. 이후 일부 유족의 항의가 잇따르자 민들레는 일부 희생자의 이름을 ‘김○○’으로 바꾸는 식으로 익명화하고 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족 동의 없는 명단 공개는 잘못”이라는 비판과 “비로소 이제야 희생자를 제대로 추모할 수 있게 됐다”는 호응이 엇갈리고 있다. 안민석 김용민 등 20명의 민주당 의원은 명단 공개 후 희생자들의 실명을 공개하는 온라인 추모공간을 만들겠다고 했다.

반면 이원욱 민주당 의원은 “유가족에게 고통을 더 안겨줬다. 아무런 맥락과 희생자에 대한 이해 없이 단지 희생자여서 타인에게 이름이 호명된다면 유가족은 더욱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성토했다. 노웅래 의원은 “명단 공개는 당사자인 유족 입장이 우선돼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유족 입장과 다르게 공개하는 건 법적·도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강훈식 의원도 “결과적으로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