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경찰, 소방 등 유관 기관과 원활한 공조 기반의 재난 대응 컨트롤 타워 구축 방안 논의 등 도민 안전망 강화를 위한 자체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남도는 박완수 지사의 재난 컨트롤타워 지정 필요성 지시에 따라 행정부지사 주관으로 소방, 경찰 등 관련 기관들과 이의 구축 방안에 대한 세부 논의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박 지사는 지난 7일 실국본부장회의에서 도·시군 재난상황실과 시·군 폐쇄회로(CC)TV, 112, 119 등 상황실 간 원활한 업무협조와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지정 필요성 강조하고, 기관 간 논의를 통해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토록 지시한 바 있다.
도는 사전 준비단계에서 112, 119, 시·군 관제실, 도 재난상황실 간의 현장 상황 정보공유 방안과 밀집도 판단·대응 기준을 논의하며 재난 발생 단계에서는 응급의료 및 군부대, 자원봉사 인력 동원 기준에대한 내용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논의하게 된다.
이와 함께 정부에서도 전반적인 재난대응 체계를 개편할 계획으로 향후 중앙정부 체계 개선 내용에 따라 경남도의 실정에 맞게 조직을 정비하고 재난 대응 체계를 새롭게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우리 도는 각종 재난에 현장성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재난 대응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예방 활동을 통해 도민 안전을 지켜내는데 도정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