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15분 도시’를 실현하고 대중교통 친화도시로 변모하기 위해 수요에 따라 운행 노선·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을 도입하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14일 ‘대중교통 친화도시를 위한 일석삼조, 부산DRT’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DRT는 차량이 이동을 원하는 사람을 찾아가 승·하차 지점, 운행구간을 탄력 운행하는 이용자 중심의 공공 교통수단을 말한다. 국내에는 2015년 전북에 처음 도입된 이래 교통취약지역 개선, 벽지노선 해결, 교통약자의 교통복지 실현 등을 위해 전국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DRT 도입이 확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도심지를 대상으로 이용자 수요에 따라 운행하는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유한솔 연구위원은 부산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15분도시 실현, 대중교통 친화도시, 광역교통 연계 구축 등을 위해 DRT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유 위원은 DRT을 도입하면 주거밀집지역과 산복도로 일원에 존재하는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어, 부산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15분도시 실현도 가속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특히 지난 10년 이상 40%대에 정체하고 있는 부산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을 높이고, 초고령사회 이동 편의 강화, 광역교통망 연계 구축을 위해서도 DRT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부산시는 ‘도심형’과 ‘시 외곽지역’ 모두 DRT을 도입할 수 있는 여건을 갖췄다고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산업단지’ ‘주거 밀집 지역’ ‘산복도로’ ‘시 외곽지역’으로 나눠 운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추후 입주할 에코델타시티·명지국제도시·일광신도시 등 부족한 대중교통을 DRT 운영할 수도 있다고 봤다.
유 위원은 “현재 출퇴근 교통이 문제가 되는 녹산산업단지를 대상으로 DRT를 시범사업으로 운영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