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계기 ‘범정부 재난체계’ 12월까지 종합대책 수립

입력 2022-11-13 12:39 수정 2022-11-13 12:53
이상민(왼쪽) 행정안전부 장관이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관리 전반을 개선하기 위한 ‘범정부 재난안전관리체계 개편 태스크포스(TF)’ 회의를 돌아오는 주중으로 개최하고, 12월 말까지 종합대책을 수립할 계획을 세웠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3일 이태원 압사 참사 관련 서면 브리핑에서 이렇게 밝히고 “TF에서 긴급구조시스템 개선방안, 재난상황 보고·통제 체계 개선, 인파관리 안전대책, 신종재난 대응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 300개 기관의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14~25일 실시한다. 중앙행정기관 20곳, 지방자치단체 221곳, 공공기관 등 59곳이 이 훈련에 참여한다. 모두 1433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훈련은 정보를 사전에 공개하지 않는 불시에 진행하고, 훈련 시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용한다. 이태원 참사 당시 유관기관 간 재난안전통신망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다중밀집 인파사고 방지를 위한 국민행동요령을 제작·배포하고, 심폐소생술(CPR) 체험 위주의 교육을 확대한다. 또 인파밀집 지역에서의 안전수칙 준수, 지역주민의 지역 위험요인 발굴·개선활동 참여 캠페인도 추진할 계획이다.

중대본은 이날 오전 9시 기준 이태원 참사 사망자 수가 외국인 26명을 포함해 총 157명, 부상자 수가 총 197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12일 기준 외국인 사망자 26명 중 총 24구는 국내에 안치, 또는 운구가 완료됐다. 남은 2구는 유족 개별 사정으로 추후 운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들에 대한 장례비 등 지원금은 26명 전원에게 지급됐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