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공소장과 정진상 당대표 정무조정실장 압수수색 영장에 이 대표 이름이 160번 가까이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뉴시스와 SBS 등에 따르면 정 실장의 뇌물 혐의와 관련해 발부된 압수수색 영장에 정 실장을 지칭하는 표현은 약 110회 등장했고, 이 대표도 100회 넘게 언급됐다. 당사자인 정 실장과 이 대표 이름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왔다는 얘기다.
검찰은 정 실장 영장에서 ‘20년 이상 이재명을 보좌하면서 각종 정책개발, 이행 및 추진 등의 업무를 총괄하던 사람’으로 관계를 규정, 이 대표와 정 실장을 정치적 공동체로 보고 정 실장 행적 대부분을 이 대표와 엮어서 담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방식은 김 부원장 공소장에서도 마찬가지다. 김 부원장 공소장에서 이 대표 이름은 김 부원장보다 더 자주 등장했다. 김 부원장 공소장에서 언급된 것까지 합치면 이 대표 이름은 159번이나 등장했다고 뉴시스는 분석했다.
검찰은 이 대표와 두 사람 사이 공모 관계를 명시하진 않았지만, 이 대표와의 관련성을 곳곳에 언급하면서 사실상 수사 최종 종착지로 이 대표를 겨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 실장은 2013~2014년 뇌물수수와 관련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뇌물), 2019~2020년 금품수수와 관련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뇌물) 등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에서 “유동규(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는 대장동 개발사업 편의제공 등 명목으로 남욱(변호사)으로부터 돈을 받기 시작할 무렵 남욱에게 ‘부동산 개발사업을 계속하기 위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이재명 시장의 재선이 중요하다, 민간업자의 이익을 극대화 하면서도 동시에 이재명 시장의 재선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우리는 죽을 때까지 한 몸이고 내년 선거에서 이재명 시장을 어떻게 당선시킬 것인지에 포커스 맞춰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적었다고 뉴시스는 전했다.
검찰은 영장에서 위례신도시 사업자 선정 과정과 관련해 이 대표와 정실장이 사업자 모집공고 전인 2013년 10월 29일 유 전 본부장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남욱 변호사 등을 사업자로 선정하기로 했단 의혹도 적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우선 정 실장을 조사하고 신병을 확보한 뒤 추가 수사를 이어갈 전망이다. 이 대표와 정 실장측은 이 같은 검찰 수사를 허위 조작 수사로 규정하고 반발하고 있다.
정 실장 측은 “단언컨대 그 어떤 부정한 돈도 받은 일이 없다”면서 “428억 약정설도, 저수지 운운 발언도 그들의 허구주장일뿐 전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 대표도 전날 “검찰의 창작 완성도가 매우 낮은 것 같다”면서 “허무맹랑한 조작 수사를 하려고 대장동 특검을 거부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