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1일 자유·평화·번영을 3대 비전으로 하는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을 선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쯤(현지시간) 동남아 순방 첫 방문지인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은 우리의 생존과 번영에 직결된다”며 “아세안을 비롯한 주요국과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번영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을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하는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지역에서 열린 다자외교 무대에서 독자적인 인·태 전략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우리는 인도-태평양 시대에 살고 있다”며 “세계 인구의 65%, 국내총생산(GDP)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전 세계 해상 운송의 절반이 이 지역을 지나간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윤 대통령은 우선 ‘보편가치에 기초한 규칙 기반의 국제질서’ 원칙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은 결코 용인되어선 안 된다”며 “규칙에 기반해 분쟁과 무력 충돌을 방지하고,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원칙이 지켜지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핵 비확산, 대테러, 해양·사이버·보건 안보 분야에서 역내 국가들과의 협력강화 방침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또 “개방적이고 공정한 경제질서를 통해 번영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을 만들어나갈 것”이라며 “공급망의 회복력을 높임으로써 경제안보를 강화하고 협력적·포용적인 경제기술 생태계를 조성해 공동 번영을 달성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기후 변화, 디지털 격차, 보건 분야에 대한 적극적 기여 의지도 드러냈다.
윤 대통령은 “제가 추진해 나가고자 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은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협력을 목표로 하는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과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며 “아세안은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세안 중심성’과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을 확고하게 지지하면서 아세안과의 협력을 심화,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또 “얼마 전 서울에서 비극적인 참사가 있었다”며 이태원 참사에 애도의 뜻을 보내준 아세안 정상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