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11일 지난 7월 임진강 하류에서 발견된 북한 주민 추정 여성 시신 1구를 북측에 송환하겠다는 내용의 대북 통지문 발송을 시도했다. 그러나 북한 측은 접수 의사를 밝히지 않고 ‘무응답’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통일부는 지난 7월 23일 경기 연천군 임진강 군남댐에서 발견된 사체가 북한 주민으로 추정된다는 수사당국의 조사 결과를 어제 통보받았다”고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오늘(11일) 오전 9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사체 및 유류품을 11월 17일 판문점에서 북측에 인도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대한적십자사 회장 명의 통지문을 북측에 전달하려 했지만, 북측이 아직 통지문 접수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측이 인수 의사를 밝힐 경우 통일부는 판문점을 통해 북한 주민 추정 사체와 유류품을 북측에 인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시신은 지난 7월 23일 경기도 연천 임진강 군남댐 하류 수풀에서 발견됐다. 발견 당시 시신은 부패가 심하게 진행됐지만, 평상복 차림의 상의엔 북한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초상이 담긴 배지가 달려 있어 북한 주민으로 추정됐다.
이후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 감식 결과 내국인 DNA와 일치하는 결과가 없다는 분석을 받고, ‘북한 주민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를 통일부에 통보했다.
남측이 북한 주민으로 판단되는 시신을 북측에 인도한 것은 2019년 11월이 마지막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총 23구의 북한 주민 추정 시신이 북측에 인도됐다.
북측은 대체로 우리 측 시신 인도 제안을 수용했지만 2017년 2구, 2019년 1구 등 3구는 북한의 무응답으로 인계하지 못하고 자체 처리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통상 주민 사체 인계와 관련해서는 과거에는 하루, 길게는 엿새 만에 답변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국경 봉쇄와 경색된 남북관계 등을 고려하면 북한이 ‘무응답’으로 사실상 인계를 거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