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윤석열 정부의 대응이 적절하지 않았다는 여론이 70%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태원 참사 관련 국정조사나 특검 도입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과반이라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국민 70% “정부, 이태원 참사 대응 부적절”
한국갤럽이 지난 8~10일 전국 성인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0%가 정부의 이태원 참사 수습 대응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적절하다는 답은 20%에 그쳤다.수습 대응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한 이들은 그 이유로 ‘책임 회피/꼬리 자르기/남 탓’(20%), ‘늑장 대처’(17%), ‘무방비/사전 대응 미흡’(14%), ‘경찰 잘못/인력 배치 문제’(11%), ‘안전 시스템 부재/지휘 체계 부실’(6%) 등을 꼽았다.
이번 사태의 1차적 책임 소재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20%가 대통령과 정부에 있다고 답했고, ‘경찰/지휘부/청장’을 꼽은 응답자는 17%, ‘당사자/그곳에 간 사람들’에게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14%로 나타났다. 이어 ‘행정안전부/장관’(8%) ‘용산구/구청장’(7%), ‘용산경찰서/서장’(5%) 등 순이었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이태원참사 직후인 지난 1~3일 조사보다는 1%포인트 상승해 30%가 됐다. 부정 평가는 1%포인트 하락해 62%로 집계됐다.
56% “이태원 참사 규명 국정조사·특검 도입해야”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해 국회 차원의 국정조사를 실시하거나 특별검사를 도입하는데 찬성하는 여론이 56%를 넘는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 8~9일 전국 성인남녀 10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1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6.4%가 이태원 참사에 대한 ‘국회 차원의 국정조사 및 특검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35.0%에 그쳤다.
연령별로는 40대(70.9%)에 이어 50대(67.6%), 20대(54.6%) 순으로 국정조사나 특검 도입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30대는 49.3%가 찬성, 41.9%는 반대한다고 답했으며, 60대 이상에서도 찬성이 44.9%로 반대(41.7%)보다 많았다.
지역별로는 강원·제주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지역에서 국정조사나 특검 도입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반대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54.2%)과 부산·울산·경남(55.6%)에서도 절반 이상이 국정조사나 특검 도입에 찬성했다. 오히려 참사가 발생한 서울지역에서는 찬성 응답이 49.9%로 절반에는 못 미쳤다.
윤 대통령 참사 사과 “불충분” 57%
참사 관련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과 7일 내놓은 사과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7.3%가 “충분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의 사과가 충분했다는 응답은 37.4%에 그쳤다.윤 대통령은 참사 발생 엿새 만인 지난 4일 불교 위령 법회에서 “국민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대통령으로서 너무나 비통하고 죄송한 마음”이라며 첫 공식 사과 입장을 밝혔다. 이어 지난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에서 “국민들께 미안하고 죄송한 마음”이라고 다시금 사과했다.
이 같은 대통령 사과에 대해 20대와 40,50대에서 “불충분하다”는 답변이 60%를 넘었다 .
미디어토마토 조사에서도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지난주 대비 0.9%포인트 소폭 올라 32.8%를 기록했다. ‘매우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1.2%, ‘대체로 잘하고 있다’는 21.5%를 기록했다. 다만 같은 기간 부정평가도 0.4%포인트 오른 65.1%로 나타났다.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56.0%, ‘대체로 잘못하고 있다’는 9.1%로 집계됐다.
한국갤럽 여론조사는 무선(90%)·유선(10%)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1.2%였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미디어토마토의 여론조사는 ARS(RDD) 무선전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다. 두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