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미국 ‘최종사용자 전제’ 탄약 수출 협의…우크라 살상무기 지원 안해”

입력 2022-11-11 10:23
1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을 받아 파괴된 우크라이나 제2 도시 하리코프의 시청사 앞 광장에 뼈대만 앙상한 차량 등 잔해가 나뒹굴고 있다. 연합뉴스

군 당국이 한·미 정부 간 비밀 합의를 통해 한국산 포탄이 우크라이나에 우회 전달될 계획이라는 외신 보도에 대해 “미국을 최종 사용자로 한다는 전제하에서 (탄약 수출)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미국 내 부족해진 155㎜ 탄약 재고량을 보충하기 위해 미국과 우리 업체 간 탄약 수출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부 방침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복수의 미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미국이 한국으로부터 155㎜ 포탄 10만발을 구매해 우크라이나 포병부대에 전달하기로 했다”며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이달 초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을 만났을 때 이 같은 계획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WSJ는 이같은 우회 지원 방식이 ‘우크라이나에 치명적인 군사 무기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한국 정부의 공약을 지킬 수 있게 해준다고 평가했다.

이 장관은 지난 3일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제54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오스틴 장관과 양국의 안보 현안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그간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 측에 긴급 의료품과 식량 등 총 4000만 달러 상당의 인도적 지원 물자를 보냈고, 군 당국은 방탄모·방탄조끼, 전투식량, 지혈대 등 비살상목적의 군수물자를 우크라이나 측에 제공했다.

이런 상황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탄약을 공급하기로 결정한 사실을 알고 있다”며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군사적 지원을 할 경우 러시아와의 관계가 파탄 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