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이태원 참사’에서 다치거나 숨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예 졸업, 출결, 휴학처리 등 다양한 학사지원 방안을 검토한다.
교육부는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전문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교협), 대학 총장 등과 함께 이태원 사고 관련 대학생 지원 방안과 대학 안전 강화 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대학과 법령, 학칙, 규정을 적극적으로 해석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학적 정리, 부상자들의 출결 인정, 휴학 처리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지원방안 중 하나로 일부 대학이 재학생 희생자들에게 명예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부상자들의 경우 치료를 위한 결석을 출석으로 인정해주거나 휴학 처리해주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대학 본부와 학생회는 희생자나 부상자에 대한 2차 가해를 방지하기 위한 학내 커뮤니티를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유가족이나 대학생 부상자들이 충분히 지원받을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학과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태원 사고 이후 사상자가 발생한 46개 대학에서 167개의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까지 학생 3616명에게 심리지원 서비스가 이뤄졌다.
이 중 고위험군 학생은 국가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병원 등 외부 전문기관과 연계해 적기에 집중 지원하는 등 사고 관련 학생의 불안과 우울감 증가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대학은 다음달 9일까지 한 달간 집중 심리지원 기간을 운영해 사고를 직·간접적으로 겪은 학생에게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부도 상담 인력 역량 강화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학교 안전 전반에 대한 점검도 강화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각 내학이 내실 있는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 시행할 수 있도록 컨설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매해 2~3월, 8~9월 시행되는 새 학기 종합점검을 강화하고 연 2회 이상 실시하는 소방점검과 대피 훈련을 통해 학교 구성원들의 재난·사고 대응 역량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학생들이 온전한 교육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대학과 적극적으로 협업하겠다”며 “청년 세대가 더욱 안전하게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