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8일 이태원 참사 당시 “분명히 국가는 없었던 것”이라며 정부 책임을 인정했다. 다만 “현시점에서 보면 집회가 일어나면 용산 쪽의 치안을 담당하는 분들이 제대로 못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리 청년들이 (이태원 참사 당일인 오후) 6시34분 국가는 없었다며 정부의 책임을 묻기 시작했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전 의원이 ‘관할서인 용산경찰서가 (사고 위험을) 몰랐다는 것은 상식 밖의 일’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전날 발언을 언급하며 “역시 상식 밖의 일입니다”라고 하자 한 총리 역시 “그렇습니다”라고 수긍했다.
전 의원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의 조치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하고 방역 조치가 해제되면 사람이 많이 몰릴 것은 예견돼 있는데 걱정 안 해봤나. 참사 당일 경비 인력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한 바가 있었나. 국정상황실에서 비상근무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따져 물었다.
이진복 정무수석은 “처음부터 비상근무를 할 판단은 안 했다”며 “정부가 들어오고 나서 사고가 생길 것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챙겼는데 코로나 이후 갑자기 이런 군중이 모이다 보니 판단이 제대로 안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과거에도 큰 행사가 있으면 국정상황실은 토요일에도 근무했다”고 지적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