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이태원 참사 당시, 분명히 국가는 없었다”

입력 2022-11-08 14:28
한덕수 국무총리가 8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는 8일 이태원 참사 당시 “분명히 국가는 없었던 것”이라며 정부 책임을 인정했다. 다만 “현시점에서 보면 집회가 일어나면 용산 쪽의 치안을 담당하는 분들이 제대로 못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리 청년들이 (이태원 참사 당일인 오후) 6시34분 국가는 없었다며 정부의 책임을 묻기 시작했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전 의원이 ‘관할서인 용산경찰서가 (사고 위험을) 몰랐다는 것은 상식 밖의 일’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전날 발언을 언급하며 “역시 상식 밖의 일입니다”라고 하자 한 총리 역시 “그렇습니다”라고 수긍했다.

전 의원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의 조치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하고 방역 조치가 해제되면 사람이 많이 몰릴 것은 예견돼 있는데 걱정 안 해봤나. 참사 당일 경비 인력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한 바가 있었나. 국정상황실에서 비상근무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따져 물었다.

이진복 정무수석은 “처음부터 비상근무를 할 판단은 안 했다”며 “정부가 들어오고 나서 사고가 생길 것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챙겼는데 코로나 이후 갑자기 이런 군중이 모이다 보니 판단이 제대로 안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과거에도 큰 행사가 있으면 국정상황실은 토요일에도 근무했다”고 지적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