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복지, 도시, 산업 등 정책 분야별로 감독자가 아닌 조정자로서 역할과 재난 시 소방과 경찰, 지자체와 연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7일 도청에서 열린 실국본부장회의에서 재난 등 정책분야별로 도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재난 시 소방과 경찰, 지자체와 연계한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지사는 최근 주최자 없는 행사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방안이 공론화되고 있다며 “119, 112, 자치단체 상황실 등과 신속한 연계, 협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컨트롤타워와 이를 뒷받침할 제도가 필요 하다”고 말했다.
이어 “생활안전, 질서, 교통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경찰 사무를 맡기 위해 만들어진 자치경찰위원회가 도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지사는 또 “재난 외 복지, 도시개발, 문화 등 각 시·군이 추진하는 사무에 대해 도가 감독자가 되기보다 조정자가 돼야 한다”며 “도는 지역별 복지시책에 현격한 차이가 나거나, 특정 분야에 중복 투자가 이뤄지는 등 문제가 없도록 중재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심 소송에서 패해 민간사업자에게 천억대의 피해보상을 해야 할 위기에 놓인 가운데 이달 중순 2심 판결을 앞두고 있는 로봇랜드와 관련해서는 “소송이 끝날 때까지 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로봇랜드의 전반적 운영 방향과 활성화 방안을 찾을 것”을 주문 했다.
또 “로봇연구센터를 비롯한 각종 센터들이 목적대로 운영 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제대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4일 열린 투자유치자문위원회에서 자문위원의 건의를 언급하며, 지역 내의 대기업과 지역대학 간 협약을 더욱 확대 추진하고 맞춤형 기술인력을 공급하는 데 도가 중재 역할을 해야 할 것을 당부했다.
박 지사는 “행정수요가 많이 변하고 있고, 새로운 업무 분야에 공직자들의 전문가 양성이 시급 하다”며 “물류, 관광개발, UAM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계획을 수립해 추진해줄 것”을 주문했다.
그는 또 각 분야별로 도정 홍보자료를 반드시 만들어서 활용해달라고 주문했다. 경남의 관광, 문화, 산업, 투자유치 등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외국인을 겨냥한 자료까지 갖춰달라고 요청했다.
이 외 박 지사는 폴란드 원전 수주와 관련된 언론 보도에 대해 지역의 효과를 분석하고 기업 지원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것과 취약계층에 대한 시책 및 경남FC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를 주문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