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하진부리 부근 전투’에서 전사한 고(故) 송병선 하사의 유해가 70여년 만에 추가로 확인돼 가족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됐다.
8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에 따르면 2020년 7월 강원도 평창군 신리에서 발굴됐던 유해의 신원이 송 하사로 확인됐다.
고인은 인천 옹진군에서 1남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5세 되던 해 부친을 여의고 모친과 여동생을 책임지는 실질적 가장 역할을 했다. 20세에 결혼해 슬하에 2녀를 뒀고, 둘째가 갓 돌을 넘긴 1950년 12월 8일 입대해 국군 7사단 3연대 소속으로 참전했다.
고인은 1951년 3월 6일부터 1주일간 강원도 평창군에서 펼쳐진 하진부리 부근 전투에서 전사했다. 당시 북한군 공세로 원주 일대에 막대한 손실이 생겼고 국군은 적을 포위 섬멸하기 위한 격멸작전을 계획했다. 이에 따라 고인이 속했던 7사단 3연대는 강원도 평창 잠두산과 백적산을 경유해 하진부리 방향으로 공격했다.
7사단 3연대는 적 저항이 완강했음에도 화력지원을 받으며 적을 격퇴했다. 작전 목표였던 평창군 속사리와 하진부리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지만 고인은 이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
2020년 발굴 작업에서 고인의 유해로 왼쪽 팔뼈 일부가 식별됐다. 추가 수색에서 팔뼈, 갈비뼈 등 유해 7점과 전투화, 독수리 문양 단추 등 유품 11점이 더 발견됐다.
신원 확인 소식에 장녀 송효숙씨는 “전쟁 당시에는 아버지의 손발톱만 돌아와서 찾아봐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영영 못 찾을까 싶어서 기도를 많이 했다”며 “국가와 국방부가 찾아주니 정말 감사하다”고 전했다.
한편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은 2000년 4월 시작됐고 지금까지 전사자 199명의 신원을 확인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