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7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경찰을 겨냥해 “왜 4시간 동안 물끄러미 쳐다만 보고 있었는가”라며 “현장에 나가 있었는데 112 신고가 안 들어와도 조치를 했었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이태원 참사가 제도가 미비해서 생긴 것인가”라며 “저는 납득이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경찰을 겨냥해 직격탄을 날린 건 이태원 참사 진상 및 책임소재 규명을 분명히 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책임이 어디에 있는가. 경찰에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전했다.
이 부대변인은 회의가 비공개로 전환된 후의 윤 대통령 주요 발언을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소방서는 예방도 물론 하지만 사고 발생 직후부터 119 구급대가 작동하는 것”이라며 “사고를 막는 것, 그리고 위험을 감지해야 하는 것은 경찰에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첫 112 신고가 들어올 정도가 되면 아마 거의 아비규환의 상황이 아니었겠나 싶은데, 그 상황에서 경찰이 ‘권한이 없다’는 말이 나올 수 있는가”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경찰이 통상 수집하는 경비 정보를 거론하면서 “집회 시위가 신고가 안 되어도 경비 정보로 이번에는 뭘 할 것 같다든지, 집회신고는 5000명 됐는데 더 많은 인원이 올 것 같다든지, 여기에 사람들이 많이 몰릴 것 같다든지 등 그런 정보를 경찰, 일선 용산서가 모른다는 것은 상식 밖”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은 “저런 압사 사고가 일어날 상황이고, 6시 반부터 사람들이 숨도 못 쉴 정도로 죽겠다고 하면 현장에서 눈으로 보고 있는데 그걸 조치를 안 하는가”라며 “재난의 컨트롤타워, 안전의 컨트롤타워가 대통령이 맞다. 그런데 이것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고 체계나 이런 것들이 신속하게 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의 비공개 전환 후 있었던 대통령의 발언을 대통령실이 그대로 공개한 건 이례적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에게 가감 없이 회의 내용이 전달되도록 하라는 윤 대통령의 지침이 있었다”며 “윤 대통령은 이번 사안에 대해서 어떤 한 점의 의혹도 남기지 말고 국민에게 최대한 상세하게 공개돼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공개 배경을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회의 모두발언에서도 경찰을 정조준했다. 윤 대통령은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위험에 대비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경찰 업무에 대해서는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진상 규명을 강조하며 “그 결과에 따라 책임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엄정히 그 책임을 묻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책임론이 거세게 일고 있는 이상민 행정안정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도 참석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