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경찰서가 2년 전 핼러윈 행사를 앞두고 압사 등 다중 인파사고 위험성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에는 현장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대책까지 준비했으나 올해는 대규모 유동인구에 의한 안전사고 대비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임호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4일 용산경찰서에서 제출받은 ‘2020년 핼러윈 데이 종합치안대책’ 문건을 보면 ‘대규모 인파 운집에 따른 안전사고 및 범죄예방 활동 대책’이 담겼다.
여기에는 압사 사고에 대한 우려 및 대응책이 언급돼있다. ‘인구 밀집으로 인한 압사 및 추락 등 안전사고 상황 대비’, ‘112 타격대 현장 출동해 폴리스라인(PL) 설치 및 현장 질서 유지’ 등의 내용이다. 위험 가능성을 인지하고 상황에 따른 대응을 명시한 것이다.
당시 경찰은 핼러윈을 앞두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이태원로 주변에 대한 사전점검을 실시하고 관계 기관에 통보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여기에는 ①112 신고 폭증 대비 이태원파출소 등 가용 근무경력 최대 확보 ②신고사건 적의 대응 및 안전한 치안 확보 ③교통 무질서 구간 교통경찰 집중 배치·사고 예방 활동 등이 포함됐다.
교통 기동대 경력 10명을 확보해 통행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고, 무질서 구간에 교통경찰을 집중적으로 배치한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있었다.
그러나 올해 치안 대책엔 인파 운집에 따른 안전사고 대비책이 담기지 않았다. 경찰은 참사 이틀 전인 지난달 27일 “10만명 가까운 인원이 제한적인 공간에 모이다 보니 범죄가 빈발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경찰 200여명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마약투약 등 불법행위와 과다노출, 불법 모의총포(BB탄을 쏘는 총) 단속 등에 초점을 맞췄다.
실제로 용산경찰서는 112신고가 급증할 것에 대비해 형사들을 곳곳에 배치했다. 또 일부 교통경찰을 투입해 무분별한 도로 난입 상황을 관리했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골목에서의 인파 흐름을 통제하지는 않았다.
이번 이태원 참사 당시 이태원 현장에 실제 배치한 경찰 인력은 137명이었지만 안전사고 방지 차원이 아니라 범죄 예방과 질서 유지의 차원이었다. 2년 전 현장 질서 유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놓고도 올해는 당일 경비인력 배치 등에서 오판을 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