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강남은 괜찮나…서울시 ‘과밀지역’ 전수조사

입력 2022-11-04 17:35
3일 오후 김포공항역이 환승하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15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번화가 등 사람이 몰리는 지역을 전부 조사하고 불법 점유시설 등을 정비하기로 했다. 조사가 끝난 뒤 좁은 이면도로의 교통안전시설도 보완할 방침이다. 조사 대상 지역에는 대표적인 번화가인 홍대 입구, 신촌 대학가, 건대 입구, 강남역 등이 포함된다.

시는 4일 “이태원 사고를 계기로 구청과 협의해 번화하고 과밀한 지역을 현장 전수조사 하겠다”며 “이 과정에서 발견된 불법 점유시설은 즉시 정비해 적정한 규모의 유효도로 폭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가 밀집 지역은 보행자 통행을 방해하는 불법 증축물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볼 계획이다.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골목이 옆 해밀톤호텔 무단 증축 등으로 더 좁아져 사고의 요인이 됐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해밀톤호텔은 본관 후면 테라스를 무단 증축해 5억원이 넘는 이행강제금을 내고 위반사항을 시정하지 않은 채 버텨온 것으로 드러났다.
소방당국 관계자들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핼러윈 인명사고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는 저층부에 무단 증축한 사례를 적발해 자진 철거를 유도하고 제대로 조처하지 않으면 이행강제금 부과뿐 아니라 고발 등으로 강도 높게 대응하기로 했다. 시정이 이뤄지지 않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업소를 고발하거나 운영 정지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시내 자치구 이면도로 100곳에 노면표시, 안전표지 등 교통안전시설 보완 설치도 이달 중 완료할 예정이다. 이면도로 관리는 도로법상 자치구(구청)의 소관 업무지만,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구와 협업해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2020년부터 자치구 생활도로 개선과 확장 등에 투입된 시비는 2019억원이다. 올해 자치구 보도환경개선 사업과 미끄럼방지포장 등에는 400억원이 지원됐다.

출퇴근길 혼잡도가 높은 신도림·사당·종로3가역 등 주요 지하철역에 대해서는 전날부터 현장 점검이 시작됐다. 점검이 끝난 뒤 이동 동선과 안전시설 보강, 대피공간 확보, CCTV 설치 등의 사업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다. 9호선의 현행 6량 열차를 8량으로 교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이와 별개로 과밀한 도로에서 일어나는 사고를 막기 위한 별도의 매뉴얼을 만드는 중이다.

서울시의회 국민의힘은 전날 ‘서울특별시 다중운집 행사 안전 관리에 관한 조례’를 발의했다. 이 조례안에는 주최·주관자가 없는 다중운집 행사도 서울시장이 안전관리 대책을 세우도록 하는 조항이 마련됐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