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당시 소방당국이 첫 신고를 받은 오후 10시15분 이후 2시간여 동안 경찰에 15번이나 현장 통제를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8분에 한번 꼴로 지원을 요청한 셈이다.
소방청이 4일 공개한 소방청-경찰청 공동대응 요청 내역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경찰청, 서울경찰청, 서울 용산경찰서 등 가능한 모든 기관에 경력 총동원을 요구했다. 오후 10시18분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서울경찰청에 첫 공동대응을 요청했다. 이어 오후 10시56분에도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서울경찰청에, 소방청이 경찰청에 각각 다수 경력 투입과 경찰의 차량 통제 지원을 요구했다. 오후 10시59분에는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이번엔 서울경찰청 핫라인을 통해 경력 추가지원을 요청했다.
그런데도 좀처럼 현장 통제가 이뤄지지 않자 오후 11시 이후에는 집중적으로 공동대응 요구가 시작됐다. 오후 11시16분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서울경찰청에, 오후 11시21분 소방청이 경찰청에 차량 및 인원 통제 지원을 요청했다. 1분 뒤인 오후 11시22분 소방청은 용산경찰서에도 가용 인원을 총동원해 현장을 통제해 줄 것을 요구했다.
경찰의 현장 투입이 지연되자 서울소방재난본부는 오후 11시28분 서울경찰청에 경찰력을 신속하게 투입해 달라고 재차 요구한다. 2분 뒤인 오후 11시30분에는 용산경찰서 상황실에 다시 경력을 투입해달라고 연락했다. 다시 5분 뒤인 오후 11시35분 서울경찰청에 경력 추가 투입을 요구했다.
이와 별도로 소방청은 오후 11시41분 경찰청에 차량 인원 통제를, 오후 11시43분엔 서울경찰청에 “시민이 다수 운집해 현장 통제가 안 된다”며 최대 인력 동원을 요구했다. 오후 11시50분에도 경찰청에 추가 경력 투입을, 이어 이튿날 0시2분과 0시17분에 각각 교통통제와 차량 통제를 요구했다.
정부 조사 결과 경찰은 이태원 참사 당일 늑장 보고와 지휘 부실로 피해를 키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경찰 특별수사본부는 당시 경찰 지휘 라인을 포함한 정부‧지자체 대응 부실 의혹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