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30여명을 구조한 뒤 사라진 3명의 외국인들은 주한미군이었을 것이란 증언이 나왔다.
3일 충청북도 청주시에 사는 20대 A씨는 자신이 이태원 참사 당시 살아남은 이야기가 알려진 후 자신을 구해준 이들을 찾았다고 연합뉴스에 알렸다. 그가 밝힌 은인은 자밀 테일러(40), 제롬 오거스타(34), 데인 비타드(32) 등 3명의 주한미군으로, 경기 동두천시 캠프 케이시에서 근무하고 있다.
A씨는 이들에게서 직접 연락을 받진 못했지만 이들이 지난달 30일 AFP 통신과 가진 인터뷰 내용을 본 뒤 자신을 구조해준 이들임을 확신하게 됐다. A씨의 상황을 잘 아는 지인이 먼저 보도 내용을 접한 뒤 전달해줬다고 한다.
A씨는 “3명의 미군이 인터뷰에서 밝힌 이태원 참사 상황과 구조 활동 등이 내가 경험한 일들과 똑같이 일치한다. 내가 찾고 있는 사람들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앞서 A씨는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극적으로 구조됐던 사연을 공개했고, 이는 미담 사례로 온라인 공간에서 빠르게 확산했다. 그는 지난달 29일 친구들 5명과 함께 핼러윈 축제를 즐기기 위해 이태원을 찾았다. 당시 인파로 가득했던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서 넘어졌고, 15분가량을 깔려 있었다. 불안감에 떨던 그를 구해준 건 건장한 체격의 흑인 남성이었다. A씨는 키 182㎝, 몸무게 96㎏의 큰 체구를 가졌지만 흑인 남성이 자신을 ‘밭에서 무 뽑듯’ 꺼내 구해줬다고 증언했다.
테일러 등은 AFP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주말 비번이라 이태원을 찾았다가 자신들 역시 인파에 휩쓸렸고, 간신히 골목 옆 난간으로 피신했다고 말했다. 이후 이들은 깔린 사람들을 보고 구조에 나섰다. 119 구급대가 도착하기까지 깔린 사람들을 근처 술집과 클럽 등으로 대피시켰는데, 당시 이들이 구조한 사람의 수는 3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타드는 “우리는 밤새도록 사람들을 끌어냈다”고 말했으며, 테일러는 “재난이 너무 빨리 닥쳐 손을 쓸 수 없었다”고 전했다. 이들은 “운이 좋아 살아남았다”고 입을 모았다.
앞서 A씨는 이들을 찾아 감사 인사를 전하기 위해 유튜브와 SNS를 훑었으나 허사였다. A씨는 “우리가 갇혔던 곳은 골목의 중간 위치라 구급대가 제일 늦게 접근해 구조가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며 “하지만 미군들이 적극적으로 구조활동에 나선 덕에 인명 피해가 줄었다”고 말했다.
이어 A씨는 “포기할 수 있는 상황에서 도움을 준 그들을 꼭 만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