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취수원 다변화’사업 민관협의체 구성 완료

입력 2022-11-03 17:43
낙동강 창녕함안보.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낙동강 먹는물 공급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와 관련해 취수지역 주민 반발을 샀던 지역주민 동의 절차 이행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완료 했다.

경남도는 정부가 추진하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추진과 관련해 환경부에서 도가 건의한 취수지역 주민 의견수렴을 위한 민관협의체 구성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 6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정부 사업으로 확정된 후 취수지역에서는 사업추진 조건인 지역주민 동의 및 소통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며 반발했다.

이에 도는 지난 8월 이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주민 의견수렴을 위한 정부 주도 민관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며, 환경부와 경남도, 관련 시·군, 수자원공사, 주민대표, 지방의회 등 사업추진 관계자가 모두 참여하는 민관협의체 구성을 건의한 바 있다.

구성된 민관협의체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지역 소통을 위한 민관협의체’이며, 위원으로 도와 합천군, 창녕군 공무원, 의회, 주민대표 그리고 환경부와 부산시 공무원이 참여한다.

한편 도와 거창군이 요청한 거창군 포함은 일단 위원이 아닌 자격으로 회의에 참석해 의견을 개진토록 하고, 협의체 운영과정에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이 거창군에 영향이 있다고 인정되면 거창군의 공무원, 의회, 주민대표 등을 포함토록 했다.

민관협의체는 분기별 1회 이상 정기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 시 임시회를 개최 하며, 올해 11월 중 1차 정기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민관협의체를 통해 취수지역 주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실질적 피해 대책을 마련하고 주민동의 절차를 밟도록 환경부와 취수지역 주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도민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취수지역은 물론이고 수혜지역의 의견도 적극 전달해 민관협의체에서 충분히 논의하고 조율될 수 있도록 도가 중간역할을 충실히 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