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사망자’에서 ‘참사 희생자’로...
광주시가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변경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오전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 사이 청사 1층 로비에 설치한 합동분향소 현수막을 바꿔 달았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31일 발송한 ‘이태원 사고 관련 지역 단위 합동분향소 설치 협조’ 공문을 통해 제단 중앙에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 적고 주변을 국화꽃 등으로 장식하도록 했다. 시·도별로 1곳씩, 설치장소는 시·도 청사를 원칙으로 삼으라고 덧붙였다.
시는 이에 따라 제단 상단에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라고 쓴 현수막과 함께 제단 가운데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는 흰색 푯말을 설치했다.
하지만 이 같은 표현에 대한 국민적 거부감과 논란이 이어지자 분향소 설치 3일째인 이날 ‘이태원 참사 희생자’로 용어를 변경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지난 1일 원내 대책 회의에서 “명백한 참사를 사고로 표현해 사건을 축소하거나 희생자를 사망자로 표현해 책임을 회피하려는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일 SNS에 ‘분향소 명칭을 변경키로 결정했습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강 시장은 “참사 초기 추모 분위기에 역행하는 논란이 일까 싶어 행안부 지침에 따랐으나 이태원의 참상이 경찰 초기 대응 실패가 그 원인이라는 점이 분명해진만큼, 희생자들을 ‘제대로 추모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그래서 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변경한다”며 “국민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만큼 행안부가 지침을 다시 내려주시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