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이상민 장관의 뒤늦은 사과로 덮을 수 없어”

입력 2022-11-02 11:20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뒤늦은 사과로 덮을 수 없다. 결코 막을 수 없던 참사가 아니었다.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참사 직후 대통령, 총리와 장관, 시장과 구청장, 경찰청장과 서장 그 누구 하나 ‘국가가 책임지지 못했다. 엎드려 사죄한다’고 말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덕수 총리는 어제도 정부 책임을 지적하는 외신기자들 앞에서 ‘제도적 미비’만을 되뇌었다. 정부는 귀가 닳도록 ‘주최 측이 없어서 대응 매뉴얼이 없다’란 변명을 반복했지만, 이마저도 거짓이었다”며 “‘경찰관 직무집행법’ 제5조에 극도의 혼잡이나 위험한 사태가 있을 때 위해 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명시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참사를 사고로, 희생자를 사망자로 명명하고, ‘근조’ 글씨가 없는 리본을 단다고 해서 정부의 참사 책임이 희석될 리 만무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고 수습은 이번 참사가 국가적 대참사임을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말로만 무한 책임이 아닌 진심으로 국가 책임을 인정하고 나설 때 참사 수습도, 진상규명도, 제도개선도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경찰청이 참사 이틀 만에 시민단체 동향을 보고한 사실이 밝혀졌다. 국민 안위보다 정권책임론 회피에만 몰두한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박 원내대표는 전날 공개된 이태원 참사 당일 112 신고 녹취록을 인용하며 “당시 이태원 근처뿐 아니라 도심 집회에 배치돼있던 경찰 기동대 인력도 충분했다”며 “하지만 사고 현장에는 투입되지 않았다. 시민들의 살려 달라는 구조신호(SOS)를 모르는 체한 것도 모자라 뒤로는 사찰까지 나섰다”고 했다.

또 “윤석열 대통령은 전 정부를 비난하며 ‘국민의 생명을 못 지키는 국가는 자격이 없다’고 했다”며 “국민 156명의 소중한 생명이 희생당할 때 국가가 과연 어딨었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