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2일 이태원 사고 발생 전 112 신고 녹취가 공개된 것과 관련해 “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이태원사고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국민 한분 한분이 112 버튼을 누를 때는 상당히 급박하고 경찰의 도움이나 조치가 절실한 경우”라면서 “그 이면에는 언제든지 달려와 줄 것이라는 경찰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어제 경찰청은 사고 당일 저녁의 112 신고 녹취록을 공개했다”며 “경찰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는데 안일한 판단이나 긴장감을 늦추는 일이 있다면 국민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것이다”고 질타했다.
경찰청은 전날 ‘이태원 사고 이전 112 신고 내역’을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첫 신고는 사고 발생 4시간 전인 29일 오후 6시 34분에 이뤄졌다.
한 총리는 이와 관련해 수사를 통해 책임 소재를 가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경찰은 특별수사본부와 감찰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고, 국민들께 투명하고 소상하게 설명해 주시기 바란다”며 “정부는 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고 112 대응 체계의 혁신을 위한 종합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편 한 총리는 전날까지 참사 사망자 중 68명의 장례가 완료됐으며, 이날은 58명이 장례를 치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는 유가족과의 일대일 매칭을 장례를 마친 후에도 일정 기간 유지해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지속해서 안내하라”고 당부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