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1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외신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2시간20분가량 해명에 나섰다.
외국 언론들에서 ‘한국 정부의 사전 조치가 미흡했다’는 취지의 문제제기가 불거지자 정부를 대표해 해명에 나선 것이다.
한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외신 기자들과 만나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당초 1시간으로 예정됐던 기자회견은 2시간20분 동안 이어졌다.
한 총리는 이태원 참사의 원인을 묻는 질문을 받고 “중요한 요인은 결국 ‘군중 관리’”라며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과 여기에 대한 체계적인 노력이 좀 부족했던 것 같다”고 답했다.
일부 외신기자들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달 30일 “경찰과 소방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한다”고 발언한 것을 비판했다.
한 총리는 이에 대해 “이 장관이 말한 내용이 ‘경찰을 아무리 집어넣어도 소용없다’는 뜻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며 “국민 안전을 최종적으로 책임지고 무한대로 책임지는 것이 우리 정부”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군중 관리 제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조금 한계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라며 “주체가 없는 자발적 행사는 분명히 제도적인 개선을 해야 할 점이 있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총리로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공식 사과를 건의할 생각은 없는가’라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기자의 질문에는 “오늘(1일) 오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중앙정부의 안전 정책 주무 부서인 이 장관이 사과한 것으로 안다”며 선을 그었다.
한 총리는 ‘젊은 친구들이 그곳에 가 있던 것이 잘못된 것인가. 누구의 잘못도 아닌 것 같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 책임의 시작과 끝은 어디라고 보는가’라는 미국 NBC 기자의 지적에 “젊은이들의 잘못은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 총리는 “경찰 수사에 의해 책임질 사람이 있다면 당연히 책임을 져야 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건 정부의 무한 책임”이라고 답변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기자는 “한국에서는 인재가 주기적으로 일어난다고도 한다”며 “그때마다 안전 사회를 정부가 강조했는데 왜 이런 일이 계속 벌어지는가”라고 물었다.
한 총리는 이에 대해 “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면서 동시에 우리 국민의 안전에 대한 요구 등에 대해서 정부가 좀 더 확실하게 충족시키도록 추가로 더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 총리는 ‘누군가 의도적으로 밀집한 사람들을 밀면서 참사가 발생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큰길 두 개를 연결하는 조그만 골목길이 세 가지가 있었는데, 왜 그 중간에서는 참사가 일어나고, 양쪽에 있는 유사한 좁은 골목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는지 ’상식적 비전문가’가 가지는 궁금증이 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그러면서도 “그런 문제에 대해서는 철저한 수사나 절차에 기반을 둔 판단이 아닌 다른 판단을 하기에는, 지금은 그러고 싶은 생각도 없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