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태원 참사’ 관련 발언에 대해 1일 공식 사과했다. 문제 발언을 내놓은 지 이틀 만이다.
이 장관은 지난 30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그 전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몰린 것은 아니다”라며 “경찰과 소방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한다”고 말해 논란을 자초했다.
이 장관은 1일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삼아 더욱 사고 수습과 사고 원인 규명에 주력을 하고, 대형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해 혼신의 힘과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국민 여러분께 드린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그러면서 “경찰의 사고원인 조사결과가 발표되기 전까지는 섣부른 추측이나 예단은 삼가야 한다는 취지에서 말씀드린 것이지만,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과 국민의 마음을 미처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다”며 “다시 한번 깊은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이 장관은 두 차례 머리를 숙였다.
현안 보고에 앞서 국민의힘 소속 이채익 행안위원장은 이 장관을 향해 “투입된 경찰·소방 인력이 적정 수준이었던 것처럼 비춰지게 한 발언은 그 취지가 어떻든 깊은 슬픔에 빠진 유족과 국민의 정서와는 거리가 있었다”고 지적한 데 따른 답변이었다.
이번 행안위 회의에서 현안 보고 이후 질의 시간은 마련되지 않았다.
답변을 준비할 시간에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하라는 취지에서 여야가 합의한 사안이었다. 국가 애도기간인 만큼 정쟁을 피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그러나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아무 말도 하지 말고, 그저 추모만 하라고 이야기하는 윤석열정부의 태도에 왜 행안위가 들러리를 서야 하냐”고 반발하다가 회의 시작 이후 퇴장했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여야 간사 간에 다시 합의해서 최소한의 질의는 받게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현안 보고에서는 이태원 참사 초반 상황이 공개되기도 했다. 남화영 소방청장 직무대리는 “경사진 좁은 골목에 많은 구조대상자가 층층이 얽혀 있었다”며 “대원들이 해밀톤호텔 뒤쪽으로 약 250m 도보로 이동한 후 구조대상자들을 골목 양쪽으로 이동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CPR(심폐소생술)이 가능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다”며 “초기 많은 사상자 대비 구조·구급대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