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단, 3D 기반의 전차선로 자재 제조 기술개발 착수

입력 2022-11-01 15:14

국가철도공단은 ‘3D 기반 전차선로 자재 관리체계 모델링 기술개발 연구’에 착수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는 전차선로 주요자재(금구류 등) 생산에 필요한 형틀을 3D 프린팅으로 제작하고, 생산된 제품은 3D 스캐너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진행된다. 기술이 개발되면 제조·검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대폭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재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어 수요가 많지 않은 고속철도 자재의 제작기술 단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소량의 자재도 신속하고 정확한 제작이 가능해 자재의 안정적인 조달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철도공단은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평택~오송 2복선화 전차선로 공사 등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2024년까지 기술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양근율 철도공단 미래전략연구원장은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로봇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철도 부문에 적극 활용하겠다”며 “탄소중립시대 철도가 국가기간 교통으로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