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석탄부두 이전 지지부진…스마트오토밸리 빨간불

입력 2022-11-01 13:42 수정 2022-11-01 14:11
인천 남항 석탄부두. 국민일보DB

인천 남항 석탄부두 이전이 기약없이 미뤄지고 있다. 석탄부두가 자리한 인천 중구 일대의 환경문제 해결을 비롯해 이전 부지에 추진될 스마트오토밸리 조성사업의 난항도 예상된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석탄부두 등 중구 항동7가 82-7 일대 39만8155㎡ 부지에 중고차 수출단지를 조성·운영하는 내용의 스마트오토밸리 운영사업자 공모 절차를 추진 중이라고 1일 밝혔다. 사업신청서 접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은 각각 내년 1월 11일과 16일 이뤄질 예정이다. 착공 목표는 내년 하반기다.

그러나 스마트오토밸리 조성사업 부지의 48.7%(19만4010㎡)를 차지하는 석탄부두는 전혀 확보되지 않은 상태다. 강원도 동해신항 1번 선석 건립을 통해 석탄부두를 옮겨야 하지만, 이를 추진하던 GS컨소시엄이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실패로 결국 사업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현재 해양수산부와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동해신항 1번 선석 건립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다만 타당성 조사 용역부터 먼저 마무리해야 구체적인 검토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동해해수청 관계자는 “언제까지 동해신항 1번 선석 건립 방식을 정할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쉽게 이야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오토밸리 조감도. IPA 제공

기약없는 석탄부두 이전으로 중구지역의 환경문제 해결 역시 어려워졌다. 석탄부두 일대 주민들만 하더라도 바닷바람에 날리는 석탄가루와 대형화물차 매연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이에 인천의 환경단체에서는 이전 여부와 상관없이 석탄부두를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항만업계에서는 석탄부두 이전 지연에 따른 스마트오토밸리 조성사업의 사업성 저하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오토밸리로 옮겨갈 예정인 송도유원지 중고차수출단지 업체들을 모두 소화할 수 없을 것이라는 업계 분석이 나온 데 이어 스마트오토밸리 운영사업자 공모 참여를 포기한 업체까지 나타났다.

한 투자업체는 지난달 인천의 항만 물류업체 및 창고업체 등과 스마트오토밸리 운영사업자 공모에 참여하기 위한 협의를 이어가던 중 지지부진한 석탄부두 이전을 문제 삼아 투자를 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 투자업체 관계자는 “사업대상지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석탄부두 이전 부지 확보가 당장 어려워진 상황에서 스마트오토밸리 조성사업의 사업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며 “함께 협의한 업체들도 공모 참여를 포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IPA 관계자는 “석탄부두 이전 부지를 제외하고 확보된 부지에 먼저 스마트오토밸리 조성사업을 1단계로 추진하더라도 운영사업자가 설계 최적화 등을 통해 운영의 묘를 잘 살리면 공간과 사업성 확보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석탄부두 이전 부지에 대해서는 상황에 맞춰 운영사업자와 2단계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