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31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이번 사고처럼 주최자가 없는 자발적 집단 행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인파 사고 예방 안전관리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등과 함께한 확대 주례회동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무엇보다 사고 원인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투명한 공개, 이를 토대로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주최자가 있는’ 행사에 국한한 행정안전부 등의 기존 안전관리 매뉴얼로는 이번 참사를 예방하기 어려웠다는 판단이 깔린 지시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과 유가족을 생각하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진 대통령으로서 말할 수 없는 슬픔과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장례 지원과 부상자 의료 지원에 한치의 부족함도 없어야 한다”면서 “유가족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필요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30분쯤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서울광장 서울도서관 정문 앞에 설치된 합동분향소를 방문해 헌화하고 묵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직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과 함께 서울광장 합동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을 애도했다.
한 국무총리는 중대본 회의에서 “(이태원 참사에서) 돌아가신 분 154명 중 1명을 제외하고 신원 확인이 마무리돼 장례 절차 등 후속 조치가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문동성 김영선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