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태원 사고 영상, 반복해 보지 말라”

입력 2022-10-30 14:05
30일 이태원 압사 사고 현장에 추모 꽃다발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이태원 압사 사고와 관련해 신경정신의학과 의사들이 현장 영상 유포를 멈추고 고인이 된 피해자들을 향한 혐오 표현을 멈출 것을 촉구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30일 성명을 내고 “여과 없이 사고 당시 현장 영상과 사진을 퍼뜨리는 행위는 고인과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2차, 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리가 모두 시민 의식을 발휘해 추가적인 유포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온라인상에는 사고 당시 현장을 촬영한 원본 영상들이 모자이크 등 별도 처리되지 않은 채 다수 게재돼 있다. 현장 영상들은 이날 새벽 삽시간에 SNS 등 온라인상에 퍼졌다.

학회는 또 스스로 현장 영상이나 뉴스 자료화면을 보는 것 또한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학회는 “현장 영상이나 뉴스를 과도하게 반복해서 보는 행동은 스스로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자제해야 한다”고 권했다.

사고 피해자와 유족을 향해 책임을 돌리는 몰지각한 언행도 삼갈 것을 당부했다.

학회는 “온라인상에서 나타나는 혐오 표현은 트라우마를 더욱 가중하고 회복을 방해한다”며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유포하는 행위는 고인과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으며, 혐오와 낙인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재난 상황 해결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언론을 향해서는 “취재·보도 과정에서 피해자의 명예와 사생활 등 개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사회적 혼란이나 불안을 야기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세월호 참사, 코로나19 대유행을 비롯한 국가적 재난 상황 때처럼 민간 전문가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참사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의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