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밤 발생한 이태원 참사 현장에 15개 재난의료지원팀(DMAT)이 현장에서 응급의료 활동을 벌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사고 발생 후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을 통해 현장에 의료지원을 실시 중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사고 현장 인근인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앞에는 ‘현장응급의료소’가 마련돼 보건소 신속대응반, 권역응급의료센터 재난의료지원팀(DMAT)이 출동해 응급의료를 실시하고 있다.
30일 오전 2시40분 기준 서울과 경기도 내 모든 재난거점병원인 14개 병원의 15개 DMAT가 출동했다. 서울과 경기도의 응급의료지원센터가 현장에 급파됐다.
DMAT는 의사·간호사·응급구조사로 구성돼 중증도 분류, 처치, 이송 등의 활동을 한다. 현재 중중도 분류에 따라 중증환자부터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인근 병원으로 이송 중이다.
이송된 병원은 순천향서울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이대목동병원, 강북삼성병원, 서울성모병원, 중앙대병원, 서울대병원, 한양대병원, 강동경희대병원, 건국대병원, 고대안암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이대서울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보라매병원, 은평성모병원,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여의도성모병원 등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이날 오전 1시30분쯤 현장응급의료소를 방문해 인명구조를 위한 응급의료 지원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국립중앙의료원 내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을 찾아 이송병원 선정 지원, 권역DMAT 출동 등 전체 상황을 점검했다.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는 핼러윈을 앞두고 수만 명의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대형 압사 참사가 났다. 소방당국은 이 사고로 이날 오전 4시 현재 146명이 숨지고 150명이 부상한 것으로 집계했다.
현재도 심폐소생술(CPR) 및 병원 후송 치료 중인 환자가 있어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은 “부상자 100명 중 사망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이 있지만, 병원으로 이송된 상황이라 얼마나 되는지는 파악이 어렵다”고 말했다.
송세영 기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