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28일 이명박정부 시절 자신이 추진했던 교육정책이 고교서열화 등 부작용을 낳았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율형 사립고와 특수목적고 확대 정책이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됐느냐는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어떤 면에서는 서열화로 이어지는 부작용이 분명히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이명박정부 시절 교육부 장관·차관 등을 지내면서 자립형 사립고 확대 등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다만 이 후보자는 ‘줄 세우기 교육, 무한경쟁 교육을 만든 장본인’이라고 자신을 몰아세운 안민석 민주당 의원의 지적엔 “줄 세우기 교육은 아니었다”라며 “저는 다양화를 주장했고 여러 아이의 욕구와 수요에 맞게 정책을 추진하려 했다”고 강조했다.
또 이명박정부 시절 추진했던 일제고사, 고교다양화 등 정책에 대해서 “최선을 다했지만 지금 교육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는 “자립형 사립고가 처음 디자인될 때는 사회배려자에게 기회를 주고 자사고 설립으로 만들어지는 재원을 지역 국립고에 투자하는 등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했다”며 “한명 한명에게 맞춤형 교육을 하는 정책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안 의원이 당시 경쟁교육에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고 묻자 이 후보자는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최선을 다했고, 부작용이 있다는 말로 이해해달라”고 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