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빅테크(정보기술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줄줄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추락했다. 강 달러 여파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27일(현지시간) 애플은 지난 3분기(애플 회계연도 4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 증가한 901억5000만 달러(128조2834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주당 순이익도 1.27달러에서 0.02달러 늘면서 모두 월가의 전망치를 웃돌았다.
그러나 매출은 전년 대비 29% 증가했던 지난해 3분기에 비해 한 자릿수 증가에 그쳤다.
주력 제품인 아이폰 판매가 426억3000만 달러(60조6411억 원)를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432억1000만 달러·61조4575억 원)를 크게 밑돌았다.
광고 사업이 주력인 메타는 7∼9월 순이익이 44억 달러(6조2590억 원)로 1년 전(92억 달러·13조860억 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14% 감소했고,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매출이 6% 증가에 그쳤다. 코로나19 기간을 제외하면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테슬라도 214억5000만 달러(30조5104억 원)의 매출로 월가 예상치(219억6천만 달러·31조2천402억 원)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경제전문 매체들은 “이같은 빅테크의 매출하락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3분기 실적은 시장 전망치에 어느 정도 부합했지만, 4분기 매출은 전망치를 크게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아마존은 4분기 매출이 1400억 달러(199조1640억 원)∼1480억 달러(210조 5448억 원)를 기록해 1년 전보다 2∼8%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애널리스트들의 매출 전망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이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