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배상을 재단을 통해 대신한 뒤 일본 기업에 자금 갹출을 요구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외교부가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았다”며 사실상 부인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일본 도쿄에서 지난 25일 한일 외교차관협의회가 열린 바 있지만 당시 협의에서 양국은 특정한 하나의 방안을 놓고 협의하지 않았다”며 이렇게 밝혔다.
일본 일간 아사히신문은 지난 26일 우리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한국 정부가 당초 (일본 기업의) 배상을 대신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여론 반발을 우려해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기부금을 모아 배상을 대신하는 방향으로 굳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소송에서 패소한 일본 기업의 배상금을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서 우선 지급하고, 우리 정부가 그 자금을 갹출하도록 일본 기업에 요구할 것이라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측은 그동안 외교 당국 간 협의에서 옛 징용공(일제 강제노역 피해자에 대한 일본식 표현)의 동의를 얻기 위해 배상 이행을 거부하는 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에도 일정한 부담이 필요하다고 전달했다”며 “양사가 배상액 같은 금액을 ‘기부’ 등의 명목으로 거출(갹출)하는 안을 물밑에서 타진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임 대변인은 “지금까지 한일 관계가 개선되는 추세에 있다. 그 추세에 따라 (일제) 강제징용 해법 마련을 위한 양국의 외교적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을 말씀드린다”고 했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일본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마치고 귀국한 이날 서울 김포국제공항에서 “양측(한일) 외교 당국이 계속 최선의 노력을 하는 상황인데 아직 얼마만큼의 진전이 있거나 없다고 말씀을 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진전이 있으면 언론에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