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이 상생발전사업을 공동 발굴해 추진한다. 번번이 무산됐던 ‘전주·완주 통합’의 네 번째 불씨가 되살아날지 주목된다.
27일 각 시‧군에 따르면 전북도·전주시·완주군은 31일 전북도청에서 경제·문화·교통 분야 상생협약을 맺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관영 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가 참석한다.
세 지자체는 두 달에 한 번씩 만나 해당 분야 사업을 발굴·선정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에서는 교통 분야를 뺀 경제·문화 분야만 진행한다.
경제 분야에서는 수소가 주인공이 될 예정이다. 완주에서 생산된 수소를 전주가 소비하는 상생형 수소도시모델 구축이 배경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 분야에서는 상수원보호구역에서 해제된 완주군 상관면 상관저수지 공동 개발건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약은 전북도의 중재로 이뤄졌다. 전주시·완주군도 지역민의 실생활과 연관된 분야 사업을 공동 추진, 시너지를 창출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두 지자체는 지역 간 갈등으로 비춰온 행정 통합은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윈윈’하는 방안을 찾기로 했다.
이들 상생 사업 성공과 확대에 따라 향후 행정통합에 대한 주민 공감대도 다시 살아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단 각 지자체는 ‘향후 행정 통합도 추진할 것’이라는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완주군 관계자는 “통합을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 주민 편익 증진을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것 일뿐”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사업 대상과 일정 등을 조정하기 위해 협약식 날짜를 뒤로 미룰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전주·완주 통합 시도는 세 차례 있었으나 완주지역의 반대로 모두 실패했다. 1997년에는 당시 결정권을 쥔 완주군의회의 반대로 좌절됐고, 2009년에는 당시 군수, 지방의원, 완주지역 국회의원이 모두 반대해 무산됐다. 2013년엔 당시 임정엽 완주군수는 찬성했지만 국회의원과 지방의원들이 반대했다. 이에 군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통합 투표에서 55.4%가 반대표(찬성 44.4%)를 던져 성사되지 못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