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7일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은 긴박하고 제한된 여건과 상황 속에서 당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면서 “근거 없이 월북으로 몰아간 적도, 그럴 이유도, 실익도 없다”고 강조했다.
서 전 실장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이 사건이 불거진 후 더불어민주당 주선으로 언론과 처음 만나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 전 실장은 “자료 삭제 지시는 없었다”며 “국민의 생명과 명예를 놓고 근거 없는 조작은 상상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미 구속된 두 분(서욱 전 국방부 장관과 김홍희 전 해양경찰청장)도 당시 제한된 상황과 여건 속에서 최선을 다했을 뿐”이라며 “이분들이 평생을 국가에 바친 헌신과 명예가 심각하게 훼손된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서 전 실장은 탈북어민 북송 사건과 관련해선 “그들은 일반적인 탈북어민이 아니라 함께 일한 동료 16명을 하룻밤 사이 무참히 살해하고 북한 도주가 실패한 뒤 우왕좌왕 도망하다가 나포된 흉악범죄자”라며 “대한민국 사회와 국민의 안전을 위해 국민 옆에 풀어둘 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견에서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청와대가 정보나 첩보 생산 기관의 정보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라는 지시를 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는 제가 아는 한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를 향해 “국익의 기본인 평화와 안보를 위한 남북관계조차 전 정권에 대한 정치보복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제 발등을 찍는 것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승욱 김승연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