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라국제도시와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제3연륙교 명칭과 관련, 국제적 감각에 걸맞은 인천의 랜드마크로 브랜딩해야 한다는 주민단체의 요구가 공식 제기됐다.
25일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상임대표 김규찬)에 따르면 섬과 육지를 잇는 연륙교의 명칭은 섬 지명이 기본원칙인데도 청라국제도시 일부 정치권에서 육지지명을 사용해 ‘청라대교’라고 거론하면서 소지역이기주의가 등장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4일 장문정(국민의힘, 청라1동·청라2동) 인천 서구의원은 구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 자유발언에서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대교’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고려해 지역홍보 차원에서 청라의 이름이 반영된 청라대교로 명명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에 대해 영종총연측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주장”이라며 “연륙교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소지역이기주의에 빠진 전형적인 인기영합주의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영종총연은 같은 성명에서 “연륙교는 육지를 위한 교량이 아니다”고 전제, “섬을 위한 교량이기에 통상적인 관례나 타 지역 사례를 보더라도 섬 지명이 기본적인 원칙”이라고 따졌다.
최근 건설된 두 지자체를 잇는 15개 연륙교 중 13개가 섬 지명을 따랐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연륙교의 약 67%는 섬 지명으로 15% 섬과 육지 혼용으로, 나머지는 지명과 관계없는 새로운 명칭을 사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영종총연은 같은 성명에서 “역사적 의미가 부여된 노량대교를 제외하곤 육지지명을 지정한 연륙교 사례는 단 하나도 없다”면서 “청라지역이 공사비 부담이 더 많으니 청라지명으로 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잘못된 것”이라고 질타했다.
제3연륙교의 공사비 6500억원 중 영종지역이 3500억원, 청라가 3000억원이 조성원가에 포함됐거나 영종지역 개발사업자가 부담해 오히려 영종지역 비용부담이 더 컸다는 사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영종총연은 “제3연육교가 일반도로로 전 국민 무료도로로 계획됐다”며 “영종지역 주민들은 20년간 이동권 수요를 위해 싸워 왔고, 그 상징이 무료도로인 제3연륙교”라고 강조했다.
이어 “영종주민에게 제3연륙교는 단순한 교량의 의미를 넘어 ‘이동권 보장’을 위해 육지와 이어주는 유일한 ‘생명선 교량이자 심장’”이라면서 “제3연륙교는 영국 런던의 타워브리지와 호주 시드니 하버브리지와 같은 글로벌 관광명소화로 추진되고 있는만큼 대한민국 중추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천혜의 자연환경 및 대형복합리조트로 세계적 관광명소로 가치가 충분하다”고 역설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세계적 관광도시로 거듭나게 될 영종과 인천의 랜드마크인 제3연륙교는 국제적 감각에 걸맞은 명칭으로 브랜딩돼야 한다는 입장을 거론했다.
영종총연은 “제3연륙교의 가치를 소지역이기주의 빠져 전례도 없는 육지지명으로 제3연륙교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행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인천시는 불필요한 명칭 논란으로 민·민 갈등을 유발시키지 말고 국토부가 제시하고 있는 지명 원칙에 입각해 조속히 명칭을 확정하고 제3연륙교 명칭을 홍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는 주민설문조사와 명칭논의를 위한 주민토론회를 추진해 주민의 의사가 반영된 명칭을 공식 제안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제3연륙교의 명칭 지정 원칙은 오직 하나 ‘영종과 청라를 넘어 세계 속의 인천’을 대표할 수 있는 랜드마크로의 브랜딩”이라고 역설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