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에서 최근 5년간 6만4780t의 해양쓰레기를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해양쓰레기의 11.9%에 해당하며 전남(15만8839t), 제주(7만2325t) 다음으로 많은 해양쓰레기를 처리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경남도에 따르면 도내 해안의 해양쓰레기를 지난 2017년 6886t을 치웠으나 2018년 8893t, 2019년 9351t, 2020년 1만4134t, 2021년 1만0495t을 수거 처리하는 등 5년 사이 수거량이 계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은 창원시와 통영시, 사천시,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등 7개 시·군이 해안을 끼고 있다. 이들 지자체가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4만9759t이며 해양수산부가 직접 처리한 1만5021t을 합하면 전체 6만4780t이 된다.
2020년 경남의 해양쓰레기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은 그해 여름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 바비 등 3개의 태풍이 연이어 남해안을 강타한 영향과 2021년은 해수부가 직접 관리하는 국가관리무역항인 마산항 등의 쓰레기 수거 활동이 증가한 영향이다.
이 처럼 해양쓰레기가 증가함에따라 쓰레기 처리비용도 같이 늘어나 경남의 경우 2017년 34억9900만원이던 예산이 2020년 233억6500만원으로 6.7배가 늘어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이 5년간 쓴 예산은 446억3900만원이다.
처리에 드는 예산은 해수부 보조사업으로 국비와 지방비, 지자체 자체 예산으로 나뉜다. 5년간 국비가 전국적으로 5.7배 증가했지만 지자체 자체 예산도 같은 기간 2배로 늘고 있는 상황이다.
경남은 국비가 20억8000만원에서 170억3400만원으로 8.2배 늘었고 지자체 자체 예산은 14억1900만원에서 63억3100만원으로 4.5배 늘었다. 자체 예산이 7.8배나 늘어난 전북 다음으로 많은 수치인 것으로 파악됐다.
해양쓰레기는 선박사고와 어업 생산성 저감, 생태계 파괴, 대규모 수거처리 비용 등을 발생시키는 만큼, 발생 차단과 함께 효율적 수거가 돼야 하지만 급격한 해양쓰레기 증가로 지자체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또 국비와 지방비 외 지자체별 자체 예산도 계속 증가해 지자체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자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 해양쓰레기 처리를위해 정부가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어업과 해양생태계를 위협하는 해양쓰레기가 해마다 크게 늘고 있지만 수거 처리 비용의 90% 이상을 지자체가 담당해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가 절실한 실정이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