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대장동 특검’과 관련해 ‘캐스팅보터’로 주목받는 조정훈 시대전환 의원이 “대장동 특검은 김건희 특검의 그 조사 내역과 다른 차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25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우리 사회의 기득권들이 똘똘 뭉쳐서 정말 일반 서민들은 생각하지도 못하는 천문학적인 부정이익을 취득한 거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인 조 의원은 특검법안 통과의 열쇠를 쥐고 있어 ‘키맨’으로 불린다. 민주당이 특검법안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 안건)으로 처리하려 할 경우 법사위원 18명 가운데 5분의 3에 해당하는 11명의 동의가 필요하다. 민주당 소속 위원은 10명으로 민주당 입장에선 조 의원의 조력이 필요하다.
조 의원은 이날 “저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어떤 일이 벌어졌고 누가 부정이익을 취했고 가장 중요한 건 그 부정이익을 우리 사회가 다시 환수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과연 이 시점에서 특검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인가를 놓고 많은 분의 의견을 듣고 있다”며 “특검이라는 것은 굉장히 날카롭고 강력하고, 그래서 부작용도 적지 않은 제도”라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대장동 특검의 관심은 사건 그 자체”라며 “저는 특정인물을 수사하는 건 표적수사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이재명 대표를 향한 것이든, 김건희 여사를 향한 것이든 저는 수사는 사건을 수사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지적했다.
또 “대장동의 경우 수사 결과가 언제 나올지 모르지만 법사위에서 이원석 검찰총장, 한동훈 장관에게 여러 의원이 질문하는 정황으로 봤을 때 또 언론 상황을 봤을 때 곧 최소한 1차 수사 결과는 나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며 “특검이라는 건 원래 정상적인 절차가 불충분할 때 시작하는 거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아직 특검 법안을 보지도 못했다. 아직 전화 한 통 안 주셨다”며 “(연락을 받으면) 고민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기는 하다. 저축은행을 넣을지 말지 여러 얘기를 하지 않느냐. 내용을 좀 알아야겠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국민과 국가에 뭐가 좋을지, 비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는 정치를 어떻게 정상화시킬지, 제가 앞으로 1명이지만 이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이것 또한 역사 앞에서 제 역할이라는 생각으로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