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술자리 의혹’ 언급된 이세창 “내가 거길? 소설”

입력 2022-10-25 07:33 수정 2022-10-25 10:14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법사위의 법무부 등 종합국정감사에서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KBS 보도화면 캡처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동훈 법무부 장관, 윤석열 대통령, 김앤장 변호사들의 술자리 의혹을 제기하며 참석자로 거론한 이세창 전 한국자유총연맹 총재권한대행이 “소설 쓰는 것”이라고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이 전 총재권한대행은 “열흘 전쯤 알지 못하는 기자에게 전화가 왔다”며 “(한 장관 등이 참석했다는 술자리에 대해 묻기에) ‘알지도 못하고, 내가 거기 있을 신분도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24일 조선닷컴에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이 전 총재권한대행은 “그랬더니 ‘(술자리를) 주관했느냐’고 물어보더라. 그래서 ‘내가 어떻게 대통령하고 장관하는 걸 주관하느냐. 이 사람 웃긴 사람이네’라고 답했다”면서 “(내게 전화한 기자가) 헛소문을 듣고 (그런 것 같다). (술집이 있다는 청담동에) 가본 적도 없다”고 했다.

한 장관과 친분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한동훈의) ‘한’자도 모른다. 진짜 모른다. 알면 안다고 그런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더탐사인지 정말 나쁜 놈들”이라고 덧붙였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법사위의 법무부 등 종합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앞서 김 의원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법무부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서 한 장관을 향해 “한 장관이 미리 개인일정을 확인해주고 제 질의를 받았으면 좋겠다. 날짜는 7월 19~20일 이틀이다. 제가 제보를 받았다. 7월 19일 밤, 그날 술자리를 간 기억이 있느냐”고 운을 뗐다.

김 의원은 “청담동에 있는 고급스러운 바였고, 그 자리에는 그랜드 피아노가 있었고 첼로가 연주되고 있었다. 제보 내용에 따르면 (술자리에) 김앤장 변호사 30명이 있었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 자리에 합류했다”고 질의했다. 이에 한 장관은 “책임 있는 말씀을 좀 해 달라. 매번 어디서 들었는지 모르겠지만, 매번 그렇게 허황된 말씀만 하신다”며 의아해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이 전 총재권한대행의 얼굴을 화면에 띄우며 “이분은 자유총연맹 총재를 지내신 분이고 지난 대선 때 국민의힘 동서화합 미래위원회 총괄본부장을 맡으신 분”이라며 제보를 했다는 언론사 기자와 이 전 총재권한대행의 전화 통화 녹취파일을 재생했다. 해당 언론사는 한 장관이 자신을 스토킹한 혐의로 고소한 ‘더탐사’다.

한 장관은 “저는 그 자리에 갔던 적이 없다. 제가 저 자리에 있었거나 저 근방 1㎞ 내에 있었으면 제가 뭘 걸겠다. 저런 정도 스토킹하는 사람과 야합해서 국무위원을 모욕하는 것에 자괴감을 느낀다”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이어 “저 술 못 마시는 것 아시냐.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을 모욕할 정도로 자신 있나”라고 거듭 반박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법사위의 법무부 등 종합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김 의원이 ‘제보자’ 녹취를 근거로 들자 한 장관은 “그 (제보자) 두 사람이 해당 유튜브 매체랑 야합한 사람 말씀인가. 그 스토킹의 배후가 김의겸 의원인가”라고 반문한 뒤 “저는 다 걸겠다. 법무부 장관직을 포함해 앞으로 어떤 공직이든 다 걸겠다. 의원님은 무엇을 걸 것인가”라고 쏘아붙였다. 이어 “지라시 수준도 안 되는 걸 갖고 국정감사 자리에서 국무위원을 모욕했다”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이 “이세창 총재가 봤다고 한다”고 하자, 한 장관은 “이런 정도만 듣고 그냥 지르는 건가. 국감이 순연된 상황에서 첫 질문을 이걸 하신단 말인가. 책임지시라. 저도 책임질 거니까. 분명히 사과를 요구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장관은 이어진 국민의힘 유상범 의원의 질의에서도 “(이세창은)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이다”라고 선을 그었다. ‘김앤장 변호사 30명을 만난 적 있느냐’는 질의에 “제가 인생을 그렇게 살지 않았다. 당연히 없다”고 단언했다.

한 장관은 이날 밤까지 이어진 국감에서도 김 의원을 겨냥해 “면책특권 범위가 아니다.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