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 산재사고 최근 5년간 급증…4명→147명

입력 2022-10-24 11:15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2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동 SPC 본사에서 평택 SPC 계열사 SPL의 제빵공장 사망 사고 관련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잇따라 일어나고 있는 SPC 주요 계열사의 산업재해가 지난 5년 동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24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파리크라상과 피비파트너즈, SPL 등 SPC 계열사 4곳에서 산재 피해를 당한 사람은 2017년 4명에서 2021년 147명으로 급증했다.

20일 오후 서울 양재동 SPC 본사 앞에서 열린 평택 SPC 계열사 SPL의 제빵공장 사망 사고 희생자 서울 추모행사에서 참가자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7년 4명, 2018년 76명, 2019년 114명, 2020년 125명, 2021년 147명으로 꾸준히 늘어났다. 올해는 9월 기준으로 115명의 재해자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2017년부터 발생한 산재를 업체별‧유형별로 보면 파리크라상에서는 ‘넘어짐’이 139건 중 38건(27.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끼임’ 23건(16.5%), ‘절단‧베임‧찔림’이 22건(15.8%) 순이었다.

피비파트너즈의 경우 ‘화상 등 이상 온도물체 접촉’이 126건(34.4%)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는 ‘절단‧베임‧찔림’이 102건(27.9%), ‘업무상 질병’이 58건(15.8%)이었다.

SPL은 ‘끼임’이 15건(36.6%)으로 가장 많았고, ‘근골격계 질환’도 4건 있었다.

정의당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마지막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2018년 이후 산재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노동조합이 설립되고 나서부터 그동안 신고되지 못했던 산재가 제대로 신고된 결과라는 게 이 의원실 설명이다.

이 의원은 “최근 발생한 SPL 산재 사망사고는 안전설비 점건 등 예방 활동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인재”라며 “SPC 측은 갈수록 늘어나는 산재 실태에 경각심을 갖고 사업주로서 예방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