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찌감치 기후변화대응 정책을 마련한 대구시가 탈탄소 선진도시임을 입증했다. 시는 ‘2050 탄소중립 달성’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인 탈탄소 정책을 펼칠 방침이다.
시는 2021년 실적 기준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결과 152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했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배출권 매도 수익(9억5000만원)을 창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2020년에 ‘온실가스 2021년 배출전망치’를 1146만t으로 예상하고 이중 12%를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산정 결과 목표보다 많은 13.3%를 줄였다. 시민 실천사업인 탄소포인트제 가입(31만t), 도시가스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56만t),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보급과 보행분담률 개선(47만t) 등으로 감축했다.
시는 2010년 7월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자체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지자체 중 처음으로 2020년부터 온실가스 감축량 전면 산정·공개를 시행했는데 전국에서 유일하다. 글로벌 탈탄소 전환 캠페인인 레이스 투 제로(Race to Zero)에도 2021년 전국 최초로 가입했고 같은 해 글로벌 ESG 평가지표인 탄소공개프로젝트 탄소중립 이행보고 평가에서 국제적으로 인정(Leadership(A-)등급) 받기도 했다.
시는 2007년부터 지자체 최초로 UN이 인정하는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인 ‘매립가스 자원화사업’과 시 소유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 제도인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추진해 지금까지 580억원의 세입을 확보한 바 있다. 시 본청, 소방서 등 공공 청사 및 시설물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에서도 2021년 정부 온실가스 감축목표인 32%를 크게 웃도는 55% 감축률을 달성했다.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 성과는 5년 연속(2017~2021년) 광역지자체 1위다.
홍성주 대구시 환경수자원국장은 “탄소중립은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의 지형을 바꿀 이슈가 되고 있다”며 “기후위기를 대구의 미래번영 기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탄소중립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