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강백신 부장검사)는 24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 내에 있는 민주연구원에 대한 압수수색을 재차 시도하고 있다. 지난 19일 압수수색 시도 이후 닷새 만이다.
검찰은 당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체포하고, 그의 사무실이 있는 민주연구원을 압수수색하려 했지만 민주당 의원들과 7시간 넘게 대치한 끝에 불발됐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며 검찰의 압수수색 재시도에 대해 “도의는 사라지고 폭력만 남은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내일이) 대통령 시정연설인데 오늘 이렇게 압수수색을 강행하겠다고 하는 것에 대해 상식적으로 좀 납득하기 어렵다”며 “이제 정치는 사라지고 지배만 하겠다, 지배만 남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또 자신이 제안한 ‘대장동 특검’을 거론하면서 “정쟁적 요소는 1년이 넘었기 때문에 특검에 맡기고 민생에 집중하자는 것”이라며 여권의 특검 수용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대장동 특검과) ‘김건희 특검’과 연관이 없다는 것이 제 입장이고, 연관 짓지 말기를 부탁드린다”며 “대통령의 ‘저축은행 비리 수사 봐주기’가 부담스러우면 (특검 대상에서) 빼도 좋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라는 말을 들었는데 드디어 거부하는 세력이 나타난 것 같다”며 “작년에도 저는 분명 특검하자고 했는데 국민의힘에서 이것저것 빼자고 조건을 붙여 실질적으로 반대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검찰이 2차 압수수색에 나서자 즉각 당사 집결령을 내렸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긴급공지문을 통해 “윤석열 검찰이 다시 중앙당사 압수수색을 시도하고 있다”며 “주요 당직 의원들과 원내부대표들은 지금 당사로 집결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그 외 의원들은 국감을 예정대로 진행하면서 별도의 지침이 있을 때까지 국회에 대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