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지난 주말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퇴진 집회’에 대해 말을 아꼈다. 대통령실은 “집회의 자유는 국민의 기본권”이라며 “다만 다른 시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법과 질서가 준수되길 바란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23일 용산 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전날(22일) 기점으로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가 경찰 추산 2만명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대통령실은 현 상황을 어떻게 진단하고 있나’라는 질문에 “집회 규모는 커질 때도 있고, 작아질 때도 있고, 그럴 수 있다”면서 “그때마다 저희가 일일이 말씀을 드리는 건 별로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고 답변했다.
이 관계자는 관련 입장은 지난 21일 답변으로 갈음해 달라고 했다. 해당 관계자는 당시 “집회의 자유는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국민의 기본권 중의 기본권이다. 다만 다른 시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법과 질서가 준수되길 바란다”며 “다양한 국민의 목소리에 대통령실은 더욱 귀를 기울이겠지만 헌정질서를 흔드는 그런 일은 국가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지난 22일 서울 광화문 앞 세종대로 일대에서는 보수단체와 진보단체가 동시에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촛불전환행동 등 진보단체 집회에는 경찰 추산 2만명, 주최 측 추산 30만명(오후 6시 기준)이 모였다. 김용민·황운하 등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도 집회에 참석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민주당 권력에 기생하며 꿀을 빨던 기생충들이 국민심판으로 그 알량한 기득권을 누리지 못하게 되자 촛불이니 탄핵이니 헛소리를 해대며 거리로 나섰다. 가관이다”라고 쓰기도 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