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SPC 그룹 ‘계열사 부당지원’ 2년여만 수사 재개

입력 2022-10-23 21:11 수정 2022-10-23 21:15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지난 2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동 SPC 본사에서 평택 SPC 계열사 SPL의 제빵공장 사망 사고 관련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이 SPC 그룹의 ‘계열사 부당 지원’ 의혹 사건 수사를 재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이정섭 부장검사)는 최근 참고인들을 소환하는 등 사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사건은 2020년 7월 공정위가 SPC그룹을 계열사 부당 지원 혐의로 고발한 것이다. 공정위는 당시 SPC가 삼립에 7년간 총 414억원의 이익을 몰아줬다며 64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면서 허영인 회장과 조상호 총괄사장, 황재복 파리크라상 대표와 계열사 3곳을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후 또 다른 SPC 계열사인 샤니 소액주주들이 상표권 무상제공·판매망 저가양도 등 부당지원으로 손해를 입었다며 허 회장 등 총수 일가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고소하기도 했다.

당시 사건을 접수한 검찰은 SPC를 압수수색하기 위해 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에서 기각됐고, 이후 일부 직원에 대한 참고인 조사만 진행되고 지난 2년여간 수사에 별다른 진척이 없었다.

사실상 중단 상태였던 수사는 지난 5월 검찰 인사 이후 수사팀이 교체되면서 다시 들여다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다 최근 SPC그룹 계열사의 노동자 사망사고 등으로 국민적 관심도 커지면서 관련 수사에도 더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수사팀은 연내 사건 처리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고용노동부도 SPC 그룹에 대해 전방위적인 산업안전보건 관련 기획감독을 시행한다.

노동부는 23일 “사망 사고에 대한 원인 규명과 엄정하고 신속한 수사와는 별개로 특단의 조치를 마련해 즉각 시행하겠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SPC그룹의 식품·원료 계열사를 대상으로 현장의 유해·위험요인뿐 아니라 안전보건 관리 체계 등 구조적인 원인을 점검·개선 지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고가 난 SPL 원료공장 뿐 아니라 SPC삼립, 파리크라상, BR코리아, 샤니, 호남샤니, 에스팜, 설목장, 샌드팜, 호진지리산보천, 오션뷰팜, SPL, SPC팩(Pack) 등 계열사들이 모두 감독 대상이 될 수 있다.

노동부는 이번 주 안에 감독 대상을 특정해 불시에 감독할 방침이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