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각 지방자치단체가 보증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해 모든 지자체가 보증 의무를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회사채 시장과 단기 금융시장의 불안 심리 확산, 유동성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원 플러스알파(+α)’ 규모로 확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과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부동산 프로젝트펀드(PF) 시장 불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면서 “모든 지자체가 매입 보증을 확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의 이번 발언은 레고랜드 사업 주체인 강원도가 ABCP에 대한 보증 이행을 거부하면서 발생한 신용 경색상황에서 시장을 안정시키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추 부총리는 이어 “정상적인 사업 진행을 위한 차환 지원, 본PF 자금조달 애로 완화를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사업자 보증지원을 10조원 규모로 늘리고, 미분양 방지를 위한 규제 완화 등 PF시장 전반에 대한 지원방안도 조속히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의 매입 한도를 기존 8조원에서 16조원으로 2배로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ABCP 어려움 등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증권사에 대해선 한국증권금융이 자체 재원을 활용해 3조원 규모 유동성을 지원하고 관계기관과 추가 지원도 확충하겠다는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또 “금융기관 등 시장참가자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장동향과 애로사항을 파악해 대처하고 시장 불안을 조성하는 교란행위와 악성 루머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금감원이 금융기관들의 건전성이나 유동성과 관련한 여러 정보를 잘 챙기고 있다”면서 “그런 상황 인식·정보에 비춰볼 때 몇 가지 이슈는 허위사실을 유포한 시장교란적 성격이 강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