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제7차 핵실험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결심에 따라 언제든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핵 전문가들은 북한의 차기 핵실험이 연쇄적으로 감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처장을 지낸 올리 하이노넨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은 22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 인터뷰에서 “풍계리 핵실험장은 현재 핵실험 준비를 완료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그 시점은 북한 당국의 정치적 결정에 달렸다고 말했다.
하이노넨 연구원은 “전술핵과 중거리 탄도미사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을 보유한 북한의 야심 찬 핵무기 프로그램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차례 실험이 필요할 것”이라며 “북한은 아마도 한 종류 이상의 핵탄두를 가지고 있을 것이고, 이를 모두 시험해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하이노넨 연구원은 중국이 유력한 북한 핵실험지로 뽑히는 풍계리에 대해 중국 본토와 가까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문제를 제기하는 만큼 북한이 제3의 장소를 고려할 수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설명했다.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소장 역시 북한이 조만간 핵탄두를 소형화하고 열핵폭탄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연달아 핵실험을 단행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앞서 패트릭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북한의 7차 핵실험에 대한 질문에 “북한이 잠재적으로 핵실험을 준비 중이라고 보고 있다”며 임박 가능성을 재확인했다.
노혜진 인턴기자